심혈관질환인 협심증과 유사한 것 같지만 전혀 다른 변 이형 협심증은 전조증상이 나타나는 시간이나 진단방법이 일반적인 협심증과는 다르다. 또한 위산 역류로 나타나는 증상과도 비슷한데 정확히 알고 있어야 심정지를 예방할 수 있다.
협심증이란
심장에 혈액을 보내 산소와 각종 영양성분을 공급해 주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로 좁아지면 산소가 부족해진다. 이때 심장 기능이 떨어지면서 나타내는 신호가 바로 왼쪽 가슴 통증이나 호흡 곤란과 같은 협심증 전조증상이다. 자칫 심정지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변 이형 협심증이란
협심증에 비해 변 이형 협심증은 진단하기가 매우 어렵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좁아졌는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변 이형 협심증은 평소 혈관이 정상인 경우가 많고 혈관의 상태나
혈액의 흐름에 전혀 문제를 발견할 수 없다. 그러나 갑자기 관상동맥에 경련이 발생하면 혈관이 순식간에 막혀버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 심한 왼쪽 가슴 통증 또는 숨쉴때 가슴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변 이형 협심증 원인
미국인에게는 없고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있는 변 이형 협심증은 국내 협심증 환자 중에 약 10% 정도가 해당된다. 원인은 동맥경화, 고지혈증, 당뇨와 흡연으로 알려져 있는데 협심증 원인과 동일하다.
변 이형 협심증 전조증상
하루 중에 혈관이 가장 많이 수축하는 시간이 새벽이나 아침이다. 이 시간에 심장혈관이나 관상동맥이 최대한으로 수축을 하게 되는데, 특히 전날 음주를 했을 경우 혈관이 수축해 막힐 위험이 매우 증가한다. 하지만 관상동맥의 경련으로 인해 혈관을 막아버리는 변 이형 협심증은 5분 이상 지속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변 이형 협심증 진단방법
평소에 관상동맥의 혈관상태는 매우 정상적이라 진단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경련을 유발하는 에르고노빈(Ergonovin)이라는 물질을 주사하고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해 혈관이 막히는지 진단한다. 만약 협심증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 에르고노빈(Ergonovin)을 주사하면 혈관이 오히려 확장되거나 아무런 반응이 없다.
식도 역류증과 변 이형 협심증의 관계
아침이나 새벽 또는 전 날 음주하고 다음날 새벽, 추운 겨울에 왼쪽 가슴 통증이 나타나고, 숨쉴때 가슴통증이 있어 협심증 치료를 받고 있는데도 완치가 안된다면 변 이형 협심증인지를 검사해봐야 한다. 하지만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서 나타나는 증상일 수도 있으니 정확한 검진을 해야 한다.
심장두근거림 증상 이있으면 심혈관질환 이나 고지혈증증상 심근경색증상 협심증증상 부정맥증
COUPANG
www.coupang.com
식도 역류증도 협심증과 같이 왼쪽 가슴 통증이나 숨쉴때 가슴통증이 나타나는데 반드시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 확인하고 전조증상에 대한 대처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복혈당 장애 진단, 내 몸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1) | 2023.03.03 |
---|---|
변 이형 협심증, 역류성식도염으로 착각하다 심정지 될수도 (1) | 2023.02.14 |
갑자기 찌릿 왼쪽 가슴 통증, 돌연사의 원인일수도 (1) | 2023.02.07 |
급성 심근경색 전조증상만 알고 있어도 급사는 피할 수 있다 (1) | 2023.02.04 |
심근경색, 폐 질환 근골격계 통증과 유사해 사망율 높다. (0) | 2023.01.31 |
댓글